최근 온난화의 영향으로 수목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많이 늘고 있다. 조경 수목의 해충은 무수히 많은 종류가 존재하는데 해충의 특성에 따라 각기 수목에 피해를 주는 방법도 다르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천공성 해충, 충혹형성 해충, 흡즙성 해충, 식엽성 해충, 묘포 해충에 대해 그 종류와 살충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수목의 해충 ( 천공성, 충혹형성, 흡즙성, 식엽성, 묘포 )
천공성 해충
천공성 해충에는 미끈이하늘소와 소나무좀, 박쥐나방, 버들바구미, 측백하늘소 등이 있다. 미끈이하늘소는 10~30년 되는 건전한 나무에 피해를 주며 나무에 구멍을 뚫는 방법으로 피해를 입힌다. 주로 참나무류와 밤나무, 사과나무류에서 발생하고 살충제는 메프유제와 파라티온을 사용한다
소나무좀은 나무수간에 구멍을 뚫는다. 수세가 약한 나무나 벌채한 나무에 기생하지만 건전한 나무도 가해하여 말라죽게 만든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송, 잣나무 등의 침엽수가 많다. 소나무좀의 천적은 개미붙이와 줄침노린재이며 살충제는 메포유제 50~100배액을 피해 구에 수간 주사하고 수시로 수관 살포한다
박쥐나방은 형성층부위를 가해하다가 나무속 구멍을 뚫고 들어간다. 마라톤 500배액으로 살충한다. 버들바구미는 포플러류와 버드나무류 등에서 발생하고 측백하늘소는 측백나무와 향나무에서 발생한다
충혹형성 해충
밤나무혹벌과 솔잎혹파리가 대표적인 충혹형성 해충이다. 밤나무혹벌은 밤나무 눈에 벌레혹을 만들어 개화결실 장애를 일으킨다. 솔잎혹파리는 유충이 솔잎 기부에 벌레혹을 만들고 그 속에서 수액 및 즙액을 빨아 먹는다. 1년 1회 발생하며 소나무, 곰솔 등에서 발생된다. 살충제는 테믹입제를 뿌리부근에 살포하며 솔잎혹파리의 천적은 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등뿔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산솔새 등이다
흡즙성 해충
수목의 잎이나 가지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을 흡즙성 해충이라 부른다. 주요 흡즙성 해충은 깍지벌레류, 응애류, 진딧물류이다. 깍지벌레류는 그을음병과 고약병 등을 유발시키는데 주로 활엽수, 침엽수에서 발생한다. 메티온유제물, 메카밤유제, 디메토유제를 살포하여 살충시키며 천적은 무당벌레류와 풀잠자리이다
응애류는 잎의 즙액을 빨아먹어 황색의 반점을 만든다. 동일 농약을 계속 사용하면 농약에 대한 저항이 생기므로 연속 사용을 피한다. 살충제는 테디온유제, 디코풀유제, 벤지란유제, 아미트유제, 가보치수화제, 알리포유제, 펜부란수화제, 벤조메유제, 아조톤유제 등이 있으며 천적은 무당벌레, 풀잠자리, 포식용 응애, 거미 등이다
진딧물류는 유충이 수목의 줄기,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는다. 피해를 받은 수목은 바이러스병을 유발한다. 습기를 싫어해 비교적 건조한 날에 발생하며 살충제는 메타유제, 마라톤유제, 아시트수화제, 펜토유제, 벤즈유제, 바미드액제 등을 수관에 살포한다. 천적은 무당벌레류, 꽃등애류, 풀잠자리류, 기생봉 등이다
식엽성 해충
식엽성 해충의 대표 해충은 노랑쐐기나방, 독나방, 솔나방, 텐트나방, 흰불나방 등이다. 노랑쐐기나방은 1년 1회 발생하며 7월부터 잎을 갋아먹는다. 단풍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 미루나무 등을 먹으며 해충은 독침모가 있어 인체에 접촉시 고통을 준다. 살충제는 디프액제, 메프수화제, 주론수화제를 살포한다
독나방은 봄철에 큰 피해를 준다. 해충은 독침모가 있어 인체에 접촉시 염증을 일으키고 참나무나 느티나무, 버들, 귀룽, 감나무, 장미등 활엽수잎에 가해를 준다. 살충제는 디프액제, 파라티온, 포스트수화제이며 천적은 긴등기생파리, 독나방긴허리고치법, 재가슴기생파리, 독나방고치벌 등이다
솔나방의 유충은 어린 소나무 잎을 먹으며 심한 피해를 받은 나무는 고사한다. 송충은 솔잎을 먹으며 1년 1회 발생한다. 주로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이 피해를 입는다. 마라톤수화제, 디프액제, 파라티온 등으로 살충하며 천적은 주둥이노린재, 흰줄박이맵시벌, 흰무늬침노린재, 송충살이고치벌, 송충을 잡아먹는 뻐꾸기, 꾀꼬리, 두견 등이다
텐트나방은 1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하고 늦봄에 부화하여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밤에 나와 각종 숙주식물을 가해한다. 포플러류, 사과나무류, 배나무, 참나무, 벚나무, 뽕나무, 장미류 등에서 발생한다. 살충제는 메프유제 수관살포, 크로포수화제, 다이야톤, 디프유제이며 천적은 각종 포식성벌, 맵시벌, 고치벌이다
흰불나방의 유충은 잎을 식해한다. 1년 2~3회 포플러, 버즘나무등 활엽수에 잎을 먹는다. 살충제는 디프유제, 메프수화제, 파프수화제, 주론수화제, 비티수화제 등이다. 천적은 기등기생파리, 송충알벌, 딱정벌레, 맵시벌 등이다
묘포해충
묘포해충은 각종 묘목의 뿌리를 갉아 먹는다. 파종 및 묘목 이식시 토양상충제인 지오릭스, 다이포입제등을 살포한다